Search

NetPractice 따라하기

태그
실습
서로 묶여있는 네트워크에서는 동일한 Mask를 사용하고, 해당 마스크를 적용했을 때(and 연산을 통해 네트워크 주소를 계산했을 때) 동일한 주소값이 나오도록 호스트 주소의 범위를 잘 조정해야한다.
호스트 주소의 경우 0번과 끝 번호는 사용할 수 없다. 예시) network : 142.54.1.0 / host : 30 의 경우 끝 2 bit만 호스트 주소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호스트 주소를 가질 수 있는 끝자리 수는 0~3의 범위를 가지지만 실제 비트가 00이나 11이 되는 0과 3의 경우에는 사용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기존에 예약되어 있는 IP 주소는 사용할 수 없다.(127.0.0.x, 192.169.x.x 등)
스위치에 연결되어있는 기기들의 경우에는 전부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여있으며, 해당 네트워크로 묶여있는 모든 기기들은 동일한 Mask를 사용하고 해당 마스크를 적용하여 계산하는 네트워크 주소가 서로 같아야 한다. 예시) 스위치에 기기 1 - 기기 2 - 기기 3 이 묶여있다면, 기기 1 : 104.198.142.124/25 ⇒ 기기 2 : 104.198.142.125/25 & 기기 3 : 104.198.142.126/25 식으로 할당하여야 한다.(네트워크 주소 : 104.198.142.128)
기기에 특정 IP를 목적지로 가지는 패킷이 들어오고, 기기나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 해당 IP에 대한 라우팅이 없다면 default(0.0.0.0/0 : 브로드캐스트)으로 설정해둔 IP 주소로 패킷을 던진다.
라우터가 Net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Net의 IP 주소는 항상 주어지며,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서 해당 gateway의 IP 주소로 패킷을 보낸다고 생각하면 된다. 반대로 Net에서 들어오는 신호는 문제의 Goal에 따라 최종 목적지의 IP 주소를 가지고 들어오므로, 라우팅 테이블에 해당 IP 주소를 받았을 때 다음 노드(라우터)로 보내도록 세팅하면 된다.
넷마스크를 통해 네트워크 주소를 구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인데 IP 주소상에 동일한 부분이 있다면 달라지는 부분까지 포함하도록 비트 수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예시) 네트워크 1 : 119.198.14.254 - 119.198.14.253 / 네트워크 2 : 119.198.14.1 - 119.198.14.2 네트워크 1의 넷마스크가 30이라면 네트워크 2의 넷마스크가 25 이상이 되어야 네트워크 주소의 마지막 비트가 0으로 달라져 서로 다른 네트워크 임을 나타낼 수 있다.
shell에서 bc를 동작 후 obase=2 를 통해 2진수를 쉽게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내가 넣는 비트가 맞게 들어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 pdf 권장 사항
라우터에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다면, 스위치로 연결 되어있는 해당 네트워크는 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 따로 추가하지 않아도 주소가 맞다면 알아서 패킷을 전달한다.(스위치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