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와 DNS 서버
•
DNS(Domain Name Service)는 국제적 단위로 웹 사이트의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연결해주는 시스템으로, 외우기 어려운 IP 주소 대신 도메인의 이름을 사용하여 해당 IP 주소에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해준다.
•
IP 주소와 연결되어 있는 도메인 이름들을 저장하고 있고, 도메인 이름으로 이루어진 주소를 받아서 그에 연결되어 있는 IP 주소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서버를 DNS 서버라 부른다.
URL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
URI는 서버 리소스 이름으로, 정보 리소스를 식별하고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이다.
◦
하위 개념으로 URL과 URN을 포함하고 있다.
•
URN(Uniform Resource Name)
◦
URN은 콘텐츠를 이루는 한 리소스에 대해서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한다.
◦
URN은 위치 독립적이기 때문에, 리소스 위치를 바꾸어도 이름이 바뀌지 않고 문제없이 동작한다.
◦
예시 : urn:ietf:rfc:2141 → 'RFC 2141' 문서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URL은 URI의 가장 흔한 형태로, 특정 서버의 한 리소스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를 지정한다.
◦
<scheme>://<user>:<password>@<host>:<port>/<path>;<parameter>?<query>#<fragment>
◦
scheme :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대소문자를 가리지 않고 뒷부분과 : 문자로 구분 된다.
◦
user, password : 일부 프로토콜은 리소스 접근 시 사용자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요구하는데, : 문자로 구분하여 이름과 비밀번호를 넣는다.
◦
authority : host와 port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host는 서버의 IP 주소나 DNS 주소를 나타내고 port는 접근할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서버에서 열어둔 포트를 통해 접근하고 HTTP의 경우 80번 port를 가진다.
◦
path : 접속하려는 서버의 특정한 리소스를 가리키는 부분으로, 서버의 어디에 리소스가 있는지 나타낸다.
◦
query(parameters) :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해 더 많은 정보를 보내거나 요청해야할 때 사용되는 부분이다.
◦
fragment(anchor) : 클라이언트에서만 사용되는 부분으로, 리소스의 일부분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html 내부 북마크 등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