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3-Tier Architecture

생성일
2023/04/28 09:44
태그

3-Tier Architecture

3-tier 아키텍처는 Presentation Tier - Logic Tier - Data Tier로 구성된 다중 계층 아키텍처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시스템 설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1.
Presentation Tier(Layer): 표현 계층 표현 계층은 Client Tier(클라이언트 계층)이라고도 불리며,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부분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출력을 표시한다.
2.
Application Tier(Layer): 응용 계층 혹은 비즈니스 계층 응용 계층은 Logic Tier(로직 계층)이라고도 불리며, 표현 계층으로부터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데이터 유효성 검사, 계산, 데이터 조작 등의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한다. 표현 계층과 데이터 계층의 사이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를 중개한다.
3.
Data Tier(Layer): 데이터 계층 데이터 계층은 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 조작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며, 데이터 베이스 또는 데이터 저장소와의 상호작용을 담당한다. 데이터의 영속성을 관리하고 데이터의 안전성과 일관성을 유지한다.

장점

어플리케이션을 위의 3가지 주요 계층으로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개발, 관리, 확장될 수 있도록 분리하기 때문에, 유연성과 재사용성을 넓이고 각 계층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분리하여 시스템의 유지보수와 확장성을 높인다.
서버를 계층에 맞춰 나누어 동작하므로 서버의 부하가 줄어들고, 특정 계층의 서버에만 스케일업(서버의 성능 업그레이드)를 고려할 수 있다.

단점

1계층으로만 사용하는 것 대비 관리해야하는 포인트가 늘어나며, 장애가 발생하는 포인트 역시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관리하는 비용도 더 많이 발생하므로 서비스 규모 및 사용자 증가에 따라 적합한 계층 구조를 설계하고 고려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