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 : substitute user의 줄임말로 현 사용자를 로그아웃하지 않고, 다른 사용자의 권한을 획득할 때 사용
su 와 su - 의 차이점
둘 다 root 권한을 획득하고, su - 를 입력하게 되면 su -l root로 루트 권한을 획득한다. 차이점으로는 su는 워킹 디렉토리를 변경하지 않지만, 반면 su -는 변경한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su는 기존 사용자 환경에서 설정된 환경변수를 그냥 그대로 유지하지만, su -는 환경 변수를 초기화 한다.
•
lsblk : 리눅스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로 blkid 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표시
•
dpkg : .deb 패키지의 설치, 삭제, 조회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명령어, apt보다 저수준의 명령어이며 dpkg보다 apt가 더 많이 사용된다.
.deb 파일
Windows의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에 사용되는 파일로, 설치에 필요한 파일이나 디렉토리 같은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dpkg 옵션
dpkg -l : 설치된 패키지 목록 확인
•
usermod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그룹, gid, uid 등 사용자와 관련되어 있는 정보를 변경한다.
usermod 옵션
usermod -l <새로운 계정> <기존 아이디> : 사용자의 닉네임(아이디) 변경. 아이디만 바꿀 뿐 디렉토리는 바꿔주지 않기 때문에 -d나 -m 옵션으로 디렉토리도 바꿔주어야 한다.
usermod -d <변경할 디렉토리> :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usermod -md <변경할 디렉토리> : -m 옵션은 디렉토리 변경 시 기존에 있던 디렉토리들과 파일들도 함께 이동한다. -d 옵션과 함께 사용된다.
usermod -g <그룹> <계정> : 사용자의 기본 소속 그룹을 변경.
usermod -G <그룹> <계정> : 사용자의 소속 그룹을 변경하며 ,(콤마)를 통해 여러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a 옵션 없이 사용 시 나머지 그룹은 탈퇴 후 지정 그룹만 가입된다.
usermod -aG <그룹> <계정> : -G 옵션과 함께 사용되며, 사용자의 소속 그룹을 새로 추가한다.
•
hostname -I : NAT 내부망 사설 IP 확인
•
hostnamectl : hostname, Debian 버전, Linux 커널의 버전 등을 알 수 있다.
•
hostnamectl set-hostname <변경할 hostname> : hostname을 변경하는 명령어.
•
ss : 리눅스 시스템의 소켓 상태(socket statistics)를 조회할 수 있는 유틸리티로 옵션없이 사용하면 listening socket 을 제외하고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든 소켓(TCP/UDP/Unix)을 표시한다.
ss 옵션
ss -t : TCP 유형의 소켓만 표시
ss -u : UDP 유형의 소켓만 표시
ss -n : Host / Port / 사용자 이름을 숫자로 표시
ss -l : listening socket 표시. 다른 유형의 소켓 표시 형식과 합쳐지면 해당 유형의 소켓 중 listening 하는 것들만 표시
ss -p : socket을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정보를 표시
ss 출력 필드
•
Netid: 프로토콜 명
•
State: 소켓 상태
•
Recv-Q: 수신 실패 데이터 바이트 수
•
Send-Q: 송신 실패 데이터 바이트 수
•
Local Address:Port: 소켓에 연결된 경로명 또는 로컬 호스트명(IP 주소):포트 번호
•
Peer Address:Port: 원격 호스트 호스트명(IP 주소): 포트 번호
•
uname -a : 현재 리눅스의 자세한 정보 표시(리눅스 버전, 커널 정보 등)
•
who : 현재 리눅스 환경에 연결된 터미널(tty / pts) 표시
•
mpstat : CPU의 사용율을 표시
•
free : CPU의 메모리 사용율을 표시
•
df : Disk의 메모리 사용율을 표시
•
journalctl : journaling file system이 기록한 로그를 출력한다.
•
사용자 목록 확인
grep /bin/bash /etc/passwd
•
프로세스 강제 종료
pkill -9 -U <uid>
-1 : 프로세스 리로드
-9 : 프로세스 강제 종료
-15 : 프로세스 정상적으로 종료